반응형
"면역주사 맞을 때 보험 적용될까요?"
보험 약관을 뜯어보며 알려드립니다. 여러분이 헷갈려하시는 "의원 1만 원, 종합병원 1.5만 원"의 정체를 파헤쳐볼게요!
1. 두 가지 핵심 개념 구분
- 자기부담금 (공제액):
- 의원: 1만 원 → 이 금액을 넘어야 보상 시작
- 종합병원: 1.5만 원
- 예: 종합병원 진료비 5만 원 → 1.5만 원 본인 부담 → 3.5만 원 보상
- 일일통원한도:
- 하루 최대 보상 가능 금액 (예: 20만 원)
- 진료비가 25만 원 → 20만 원까지만 보상
2. 당신의 보험은 이렇게 작동해요
- 종합통원형(상해_외래)실손의료비 특징:
- 상해와 질병 모두 적용
- 급여 항목만 보상 (비급여는 별도 확인 필요)
- 면역주사:
- 식약처 승인된 주사 → 70% 보상
- 미승인 주사 → 전액 본인 부담
3. 꼭 체크해야 할 3가지
- 진료비 세부내역서:
- "급여" 항목인지 반드시 확인 (비급여는 보상 제외)
- 보험 앱 활용:
- KB금융앱 → "내 보험" → "상세보장내역"에서 한도 확인
- 비급여 특약:
- 별도 가입 시 면역주사 50~70% 추가 보상 가능
4. 실제 사례 비교
- A씨 (면역주사 15만 원):
- 급여 항목 → 1.5만 원 공제 → 13.5만 원 중 70% (9.45만 원) 보상
- B씨 (MRI 30만 원):
- 비급여 → 전액 본인 부담
✨ 요약
- 1만 원/1.5만 원 = 자기부담금 (이상부터 보상 시작)
- 일일통원한도는 별도 존재 (보험증서 확인 필수)
- 면역주사: 급여 여부에 따라 보상 차이
보험금 청구 전 진료비 세부내역서와 보험 앱을 꼭 확인하세요. 헷갈릴 땐 KB고객센터(1588-3000)로 문의하시면 더 정확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법률 및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세대 실비보험, 외래 검사비 청구 가능 여부 총정리 (0) | 2025.05.08 |
---|---|
다이렉트 실손보험 가입 핵심 가이드 -유병력 있어도 보험 들어볼까? 주의할 점은? (0) | 2025.05.08 |
보험 심사 현장 조사, 이렇게 하면 편해요! (1) | 2025.05.08 |
병원 진료 후 보험금 청구, 꼭 알아야 할 기한과 절차 (0) | 2025.05.04 |
다이렉트 실비보험 가입의 숨겨진 조건들: 알고 보니 설계사 경유가 유리한 이유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