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법률 및 생활정보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거부, 근로자는 어떻게 자신의 권리를 지킬 수 있을까?

by amazone 2025. 2. 12.
반응형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 알고 계신가요?

근로자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할 경우, 주당 15~30시간 범위에서 근로시간 단축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는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명백한 권리입니다. 사용자는 정당한 사유 없이 이를 거부할 수 없으며, 거부 시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받습니다.


회사가 거부한다면? 단계별 대응 가이드

  1. 서면 요구 및 증거 수집
    • 신청 시 반드시 서면(이메일, 공문 등)으로 제출하고, 회사의 답변도 서면으로 요청하세요.
    • 회사가 구두로 거부하면 “거부 사유를 서면으로 알려달라”고 요구합니다. 법률상 회사는 거부 시 7일 이내에 서면 사유를 통지해야 합니다.
  2. 노동청 신고
    • 회사가 거부 사유를 통지하지 않거나, 통지한 사유가 “대체 인력 부족”, “사업 운영 차질” 등 모호한 경우, 관할 고용노동지청에 진정서를 제출하세요.
    • 신고 후 노동청은 회사에 시정 권고를 하며, 회사가 이를 무시할 경우 과태료 부과 또는 검찰 고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법적 소송
    • 노동청 조치로 해결되지 않으면 노동위원회에 구제 신청 또는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 임금 감액, 해고, 불리한 직무 배치 등 불이익을 입었다면 손해배상 청구 소송도 가능합니다.

승인 후 불이익? 이렇게 대응하세요!

회사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승인한 뒤 “업무 효율성 저하”를 이유로 승진에서 배제하거나, 간접적인 압박(과도한 업무 할당, 무시 등)을 가한다면?

  1. 불이익 기록화
    • 승진 기준 변경 통보, 부당한 업무 지시 내용을 이메일·문서로 저장하세요.
    • 동료의 증언이나 녹음 파일도 유용한 증거가 됩니다.
  2. 노동위원회 개입 요청
    • 회사가 불이익을 주는 행위는 형사 처벌 대상입니다.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으므로, 노동위원회에 진정 제기하세요.
  3. 전문가 상담
    • 노무사나 변호사를 통해 법적 자문을 받고, 증거 강화소송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제 사례에서 배우는 교훈

B씨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승인받았으나, 회사가 “팀 성과 저하”를 이유로 연봉 인상을 거부했습니다. B씨는 노동청에 신고하고 소송을 진행해 연봉 인상분을 받아냈습니다. “회사의 경제적 이유”만으로 불이익을 주는 것은 위법이라는 판결이 선고된 사례입니다.


근로자가 주의해야 할 3가지

  1. 신청 시기: 자녀가 만 8세가 되기 에 신청해야 합니다.
  2. 협의 가능성: 회사와 출퇴근 시간 조정 또는 재택근무 등 대안을 논의할 수 있습니다.
  3. 기간 연장: 최초 1년 단위로 신청 가능하며, 총 2년까지 연장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논의와 제도 개선 방향

현행법은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지만, 중소기업의 현실적 어려움을 고려한 지원 정책이 부족합니다. 예를 들어, 대체 인력 채용을 위한 정부 보조금 확대인력 풀 공유 시스템 도입이 필요합니다. 또한, 근로자의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기업에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 질문: 당신의 권리, 지키기 위해 무엇을 할 준비가 되어 있나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은 법으로 보장된 권리입니다. 회사의 부당한 거부나 불이익에 침묵하는 것은 동료 근로자들의 권리까지 위축시킬 수 있습니다. 증거 수집, 신고, 법적 대응을 위한 첫걸음을 용기 있게 내딛어 보세요. 과연 우리는 일과 가정의 균형을 위한 작은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까요?

반응형